독일에 산다는 것. 유럽에 산다는 것.
역시 이것의 장점은 바로 다양한 나라로 여행을 갈 수 있다는 점인데요!
특히 제가 있는 독일 작센 주는 두 나라의 국경과 맞닿아 있습니다.
폴란드와 체코가 그 두 나라인데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체코의 여행지는 바로 체코의 수도인 프라하입니다.
사실 저희 부부의 신혼여행지는 와이프가 가고 싶어한 프랑스 파리,
제가 가고 싶어한 체코의 프라하 이렇게 두 곳을 방문하였는데, 현재 독일에 살고 있고 심지어 프라하가 차로 2시간이 안걸린다?
안갈 이유가 하나도 없지요!
2018년도에는 둘이서 방문했던 프라하를 2022년도에는 셋이 되어 방문하였습니다.
제가 있는 드레스덴에서 프라하까지는 대략 149 km로 자동차로 1시간 30분 - 2시간 정도 걸립니다.
독일 내에서는 고속도로의 통행료가 없기 때문에 어딜 가시든 통행료를 걱정 안하셔도 되지만 체코의 경우에는 차량 통행료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체코에서 운전을 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통행료인 비넷 (Vignette)을 구매하셔야합니다.
체코 외에도 오스트리아, 헝가리, 스위스, 루마니아, 불가리아, 슬로베니아에서 운전하시려면 비넷이 필요합니다.
비넷을 구매할 수 있는 곳은 ADAC 등 다양하지만 프라하를 가는 길에 있는 휴게소에서도 판매하기 때문에 저희는 휴게소에서 구매하였습니다.
이전에는 비넷을 구매하여 조수석 쪽에 붙혀서 통행료를 지불한 것을 증명하였는데, 요즘에는 디지털 입력으로 차량 번호를 입력하여 등록하는 시스템으로 바뀐 것 같습니다.
저는 이번에 휴게소에서 구매할 때 따로 스티커를 받진 않았습니다!
비넷은 10일, 30일, 1년 단위로만 판매하는데, 3박 4일 여행을 계획하셨다 하더라도 최소 단위인 10일권을 구매하셔야합니다.
하지만 10일권 이라 하더라도 310 CZK 한화로 약 1만7천원 정도라 크게 부담없이 구매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3-4년만에 다시 신혼여행지를 아이와 함께 방문하니 느낌이 뭔가 새로웠는데요.
이번에도 많은 분들이 들리시는 관광지를 방문하였습니다.
(왼쪽이 신혼여행 때, 오른쪽이 올해 방문하였을 때 입니다.)
먼저 프라하 천문 시계! 이 시계는 1410년도에 설치되어 현재까지 작동하는 천문 시계 중 가장 오래된 시계입니다.
매 정시마다 12 사도 인형의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정시에 가까워지면 많은 방문객들이 시계탑 근처로 모여 구경합니다.
또 많이 방문하시는 곳이 프라하 성!
실제로 체코의 왕들과 로마 제국의 황제들이 통치하였던 장소이며, 현재는 체코 공화국 대통령 관저가 자리 잡고 있는 곳입니다.
프라하 성의 또 다른 랜드마크는 다름이 아니라 스타벅스인데요. 갑자기 스타벅스?
프라하 성 바로 옆에 자리잡고 있는 스타벅스에서 내려다보는 프라하의 경치는 아주 굉장합니다.
프라하 성 근처에 있는 레넌 벽은 원래 평범한 벽이었는데, 1980년대 이후 비틀즈 멤버였던 존 레논과 연관된 그림과 노래 가사들, 지역적 세계적 이슈를 다룬 그림들로 채워진 벽으로 바뀌었습니다.
프라하 성 근처에 위치해서 많은 분들이 들리시는 곳입니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라고 밥도 먹어야지요!
독일의 족발 요리는 학센이라면 체코에는 꼴레뇨가 있습니다.
돼지 무릎을 구워 만드는 요리인데 바삭함 (딱딱함)을 비교하자면,
독일 학센 > 체코 꼴레뇨 > 한국 족발
쫄깃함을 비교하자면 반대로,
독일 학센 < 체코 꼴레뇨 < 한국 족발
이렇게 상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밥을 먹었으면 또 디저트를 빼먹을 수 없죠!
체코에서 가장 유명한 디저트는 바로 굴뚝빵 뜨르들로 (Trdelník) 입니다.
도우를 막대기로 감싼 후 구운 후 설탕, 누텔라, 생크림 등의 토핑과 먹는 체코의 간식입니다.
3-4년 전에 봐도 아름다웠던 프라하
다시봐도 너무 아름다웠고 저희의 추억이 가득했습니다.
기회가 되신다면 프라하 여행 강력 추천드립니다!!
'독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독일의 일요일 (ft. 문 좀 열어주세요!) (0) | 2022.07.03 |
---|---|
#14 독일 병원 (ft. 독일 의료 시스템) (0) | 2022.06.30 |
#11 원숭이 두창 (ft. 독일에서 원숭이 두창 ?) (0) | 2022.06.26 |
#10 깻잎 키우는 방법 (ft. 독일에서 자급자족하기) (1) | 2022.06.24 |
#9 박사후연구원 (ft. 독일 postdoc으로 일하기) (1) | 2022.06.23 |